[교통비 절약 꿀팁] K-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비교 및 실제 사용 후기
안녕하세요 여러분~ 오랜만입니다.
오늘은 교통비 아끼는 팁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해요!
교통비 아끼는 카드와 수단/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.
그 중에서도 지금 제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카드에 대한 후기를 알려드릴까 해요!
교통카드 할인중에는 기후동행카드, k-pass(이전 알뜰교통카드) 등등이 있죠~
우선 저의 입장에서 k-pass를 선택한 이유를 아래 간단한 비교표로 보여드릴게요.
기후동행카드 vs K-패스 비교
구분 | 기후동행카드 | K-PASS |
지역 |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 (지하철, 버스, 따릉이) |
전국 (지하철, 버스, 광역버스, gtx 등등) |
제외 교통수단 |
- 신분당선 - 광역버스 - 공항버스 - 서울 외 지역 도시철도 |
없음 |
요금 구조 | - 월 62,000원(따릉이 미포함) - 월 65,000원(따릉이 포함) |
별도 고정 요금X |
혜택 | 월 30일간 무제한 이용 가능 | -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지출액의 일정 비율 환급 (일반인 20%, 청년 30%, 저소득층 53%) |
환급한도 | 없음 | 월 최대 60회 |
추천 대상 | -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빈번히 이용하는 사람 - 월 교통비 62,000원 이상 발생 |
- 전국적으로 교통 이용이 잦은 사람 - 월 교통비가 62,000원 이하이거나 교통 이용 횟수가 적은 경우 |
보시다시피 2개의 카드에 대한 차이점이 명확한데요!
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만 사용가능한 한계적인 부분이 있는 반면 K-PASS는 전국 사용에 사용한 만큼의 환급제도로 운영되고 있죠!
사실 이건 어느 방법이 우수하다라기 보단, 각자의 케이스에 맞춰 사용하면 될 듯 싶은데요,
저는 직장은 서울이지만, 본가는 부산이라 전국적으로 돌아다닐 일이 잦고 또한 주5일 근무가 아닌 재택이 있기때문에 실질적으로 출퇴근하는 날은 3일 뿐이라, 저에게는 K-PASS가 딱 적합하더라구요!
그래서 저는 K-PASS를 사용한지 딱 2달이 넘었어요~
사실 K-패스는 이전에 알뜰교통카드에서 2024년 5월부터 K-패스로 전환된 것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!
이전 알뜰교통카드에서는 앱을 활용해 이동거리 기반으로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것으로 출발 및 도착 시마다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현재 K-PASS는 별도의 앱 없이 발급받은 카드 사용으로 적립금을 환급받을 수 있게 바뀌었답니다 :)
그럼 K-패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?
K-패스는 교통비 적립금만큼 환급받는 시스템인데요! 다양한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카드를 활용해서 적립 및 사용을 하게 됩니다.
K-PASS 카드사별 혜택
카드사 | 카드 종류 | 대중교통 혜택 | 추가 혜택 |
하나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드럭스토어(다이소, 올리브영) 10% 할인, 커피(스타벅스, 커피빈) 10%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10% 캐시백 | 드럭스토어 1% 캐시백, 커피 1% 캐시백 | |
KB국민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생활서비스(통신요금, 커피, 약국, 편의점, 영화, 패스트푸드) 5% 할인, KB Pay 이용 시 추가 5%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10% 적립 | 생활서비스 1% 적립, KB Pay 이용 시 추가 1% 적립 | |
신한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간편결제(신한 SOL페이, 삼성페이, 네이버페이, 카카오페이) 5% 할인, 생활서비스(배달앱, 편의점 등) 5%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간편결제 2% 할인, 생활서비스 2% 할인 | |
NH농협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철도공사(KTX, SRT 포함) 할인, 모빌리티 서비스(렌터카, 전기차 충전) 10% 할인, 라이프 서비스(통신요금, 오픈마켓, 배달앱, 스포츠, 올리브영) 5% 할인, 커피, 편의점 10%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모빌리티 서비스 5% 할인, 라이프 서비스 5% 할인 | |
우리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자동 납부 업종(통신요금, 공과금 등) 10% 할인, 대형할인몰, 스타벅스, 놀이공원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3,000원 캐시백 | 해외 이용 수수료 면제, 생활 서비스(편의점, 영화 등) 캐시백 | |
IBK기업은행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최대 300원 할인 | 철도, 고속버스, 택시 5% 할인, 주유/영화/놀이공원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건당 100원 할인 | 생활 서비스(편의점, 커피 등) 할인, 금융 우대 서비스 제공 | |
삼성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커피/멤버십(쿠팡, 네이버) 20% 할인, 디지털 콘텐츠(OTT, 스트리밍) 20% 할인, 온라인 쇼핑 3% 할인 |
체크카드 | 대중교통 10% 캐시백 | 통신요금 10% 캐시백, 편의점/커피 캐시백, 영화 할인 | |
BC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5% 할인 | 디지털 콘텐츠(OTT, 스트리밍) 15% 할인, 통신요금/편의점/커피 5% 할인 |
현대카드 | 신용카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온라인 쇼핑몰, 편의점, 카페, 도서 10% 할인 |
위와 같이 정~말 다양한 카드사들의 혜택이 있죠?
각자 상황에 맞는 주거래 은행 혹은 알맞은 혜택 카드사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.
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저는 본가가 부산이기도 해서 철도공사를 한달에 한번 이상 사용하여 NH농협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사용중이랍니다!
카드사별로 연 회비가 적용되는 것도 있고 없는것도 있으며, 더 상세한 혜택 및 내용은 직접 카드에 안내에 들어가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NH농협카드는 연회비 1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!
K-패스 발급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! 본인에게 적합한 카드를 선택 후 각 카드사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서 발급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.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직접 은행 혹은 카드사 영업점에 방문해서 신청도 가능합니다.
신청이 완료되고, 카드를 수령하셨으면 K-PASS 어플을 까셔서 카드를 등록하고 서비스를 활성화 시키시면 적립금이 실시간으로 얼마나 쌓이는지 보인답니다. (실시간이라기 보단,, 며칠 뒤 업로드되긴 합니다만 ^^)
그렇다면 제가 사용하고 환급받는 내용을 간단히 후기 및 인증으로 남기고 이번 리뷰는 마칠게요!
실제 적립 및 환급내역 후기
24년 11월은 45회 사용, 이용금액 68,300원, 총 20,490원 적립되었고 계좌로 바로 환급 받았습니다!
카드사별로 지급일자가 다르니 카드사별로 지급일자 잘 확인하시구요^^
12월은 41회 사용, 이용금액 61,220원 사용해서 총 18,366원 환급받네요!
NH농협은 적립 월의 익월 11영업일에 계좌로 입금되어서 저는 25년 1월 11일에 또 환급 받겠네요 ㅎ
이상 여기까지 별것 없는 저의 후기였구요~
비록 2만원이더라도, 치킨값 한마리 버는 셈 치고 열심히 세이브하셔서 알뜰하게 재태크 해보도록 해요 우리 :)
*본 포스팅은 아무런 게런티도 없으며, 본인의 직접 사용 후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이상입니다.